2025 여성건강지원금 총정리: 누가, 얼마, 어떻게 받나

기준일: 2025-08-25 (KST) · 공모형 사업은 매년 변동될 수 있습니다.

2025 여성건강지원금 총정리: 누가, 얼마, 어떻게 받나

“병원비가 걱정돼 치료를 미루고 계신가요?”

치과치료부터 종합검진, 운동치료, 생리용품 전자바우처까지.

2025년 여성 건강 지원 제도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내 상황에 맞는 방법을 바로 확인해 보세요.

※ 공모형 사업 특성상 일정·한도·서류는 매년 공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핵심 요약 ✍️

  • 대상 여성가장(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공익단체 여성활동가·저소득층 여성청소년(9~24세)
  • 항목 치과진료 · 종합검진(GREEN+) · 건강증진(운동) ·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전자바우처
  • 유형 한국여성재단 공모형 + 정부 지속사업(바우처)

여성건강지원사업·여성청소년 전자바우처 비교

구분 지원 항목 1인당 지원한도 신청 방식
여성건강지원(치과) 충치·임플란트(교정 제외),
연계 치과 지정 치료
최대 300만원 이내 추천단체 경유(여성가장), 개인(활동가) 이메일 접수
종합검진(GREEN+) 기본 9항목 + 선택 3항목,
녹색병원 지정
검진비 약 145만원 상당 지원 추천단체(여성가장)·개인(활동가) 이메일 접수
건강증진(운동) PT·요가·수영·운동치료 등
수강료 중심 (용품·의류 제외)
최대 60만원 추천단체(여성가장)·개인(활동가) 이메일 접수(후지급)
여성청소년 전자바우처 생리용품(생리대·탐폰·컵 등) 구매 월 14,000원 (연 168,000원)
반기 일괄 충전
주민센터·복지로 신청 / 지역별 가맹점·사용처 상이

ALT: 2025 여성건강지원금(치과·검진·운동·바우처) 비교표

여성건강지원사업(한국여성재단) 🩵

대상 · 여성가장(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추천단체 경유) · 여성활동가(공익단체 3년 이상, 일부 개인 신청 가능)

  • 🦷 치과진료: 충치·임플란트 지원(교정 제외) / 연계 치과 이용 필수
  • 🏥 종합검진: 기본 9 + 선택 3항목, 녹색병원 지정
  • 🧘 건강증진: PT·요가·수영·운동치료 등 수강료 중심(용품·의류 제외)

※ 항목·한도·일정은 매년 공고로 확정됩니다.

여성청소년 전자바우처(정부) 🎀

대상 · 기초생활·차상위·한부모 가구 9~24세 여성청소년

형태 · 월 14,000원 바우처(반기 일괄 충전) / 국민행복카드 사용

신청 ·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 지역별 가맹점 상이

신청 절차 한눈에 보기 📌

항목 신청 경로 필요 서류 비고
치과진료 추천단체 경유·이메일 신청서, 개인정보동의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1년), 가족관계/한부모 증빙 연계 치과 지정 치료(선택 불가)
종합검진 추천단체 또는 개인(활동가)·이메일 신청서, 신분증, 보험·수급 증빙, 건강보험자격확인서 녹색병원 지정(8월 내 검진)
건강증진(운동) 추천단체 또는 개인(활동가)·이메일 신청서, 프로그램 안내서 등 후지급·소급 불가, 수강료만 인정
전자바우처 주민센터·복지로 신분증, 수급·차상위·한부모 증빙 가맹점·사용처 지자체별 상이

준비서류 실무 팁 🗂️

  • 신청서·개인정보동의서는 한 PDF로 묶어 제출(서식별 안내 참조)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최근 1년 / 가족관계·한부모 증빙 최신본
  • (활동가) 재직·경력증명, (추천단체) 공문·신청자 명단(엑셀)
  • 파일명 예시홍길동_900101_치과지원.pdf, 건보납부확인서_2025.pdf

자주 하는 실수 & 체크 포인트 ⚠️

  • 추천단체 미확보 시 여성가장 접수 불가
  • 임의 병원·영수증 인정 안 됨 → 치과·검진은 연계기관 지정
  • 운동비는 수강료만 가능(용품·의류 제외) · 후지급 · 소급 불가
  • 전자바우처는 금액·가맹점이 지자체별로 다름

FAQ 자주 묻는 질문 🙋‍♀️

Q1.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여성가장(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공익단체 3년 이상 여성활동가가 주요 대상입니다. 일부 항목은 추천단체 경유가 필수예요.

Q2. 예산 조기 소진 시?

공모형 사업은 예산·정원이 정해져 있어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공고 직후 서둘러 접수하세요.

Q3. 치과진료는 원하는 병원에서?

불가합니다. 연계 치과 지정제로 운영되어 연계된 치과에서만 치료 가능합니다.

Q4. 활동가 개인 신청 가능한 항목은?

종합검진·건강증진은 개인 신청 가능(조건 충족 시). 치과진료는 활동가도 공모 요건에 따라 진행합니다.

Q5. 여성청소년 바우처는 전국 동일?

기본 금액은 월 14,000원이나, 사용 가맹점·지급 방식은 지자체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거주지 공지를 확인하세요.

Q6. 결과 발표까지 기간은?

보통 접수 마감 후 약 2~3개월 내 발표되나, 사업별 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맹점 함정 피하기 🔒

  • 카드사별 사용처 다름 · 발급사별 가맹점 구성이 다릅니다. ‘사용처 안내’ 먼저 확인.
  • 앱 전용 전용관 · 일부는 모바일 앱 결제만 지원.
  • 품목 제한 · 생리용품(바코드 등록)만 인정. 배송비/생활용품 섞이면 실패 → 분리결제.
  • 연말 소멸 · 잔액은 12/31 자동 소멸, 이월 불가.
  • 지역화폐형 주의 · 지자체 보편지원은 지역 내 가맹점만 사용.
  • 반기 충전 착시 · 최초 신청 달에 따라 충전월 수가 달라 보일 수 있음.

3초 체크: (1) 카드사 사용처 (2) 생리용품만 담기 (3) 연말 전 소진

2025 공고 일정 예시 🗓️

  • 치과진료: 접수 3/24~3/277/11(금) 발표 → 치료 진행
  • 종합검진(GREEN+): 접수 4/7~4/21 → 발표 7/11(금) → 8월 검진
  • 건강증진(운동): 접수 4/17~5/7(연장) → 발표 7/23(수) → 운동기간 8~10월

※ 예시는 2025년 공고 기준 참고용으로, 변동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드시 최신 공고문을 확인하세요.

연관 콘텐츠 🔗

마무리 🌿

치과·종합검진·운동·전자바우처까지, 2025년에 한 번에 챙기면 의료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어요.

단, 항목별 절차·자격·예산이 다르므로 공고문을 꼼꼼히 확인하고 서둘러 준비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