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봉투법이란? 법안 내용, 쟁점, 찬반 입장 총정리




작은 봉투 하나, 우리 사회를 흔든 질문


노란봉투법, 우리는 어디쯤 와 있을까요?

감정과 사실 사이에서 조용히 생각해보기


💭 작은 봉투에 담긴 마음 하나

그 시작은 편지 한 장과 노란색 봉투 한 장이었습니다.
그 안에는 거창한 정치도, 거대한 조직도 없었죠.
다만, 누군가의 부당함 앞에서 작은 마음 하나를 건넨 시민들이 있었습니다.

“당신은 혼자가 아니에요.”

그 마음이 이어지고 쌓여, 하나의 법안으로 제안되었습니다.
이른바 노란봉투법입니다.

작은 봉투에 담긴 마음하나




📌 노란봉투법이란?

정식 명칭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 줄여서 노조법 2·3조 개정안이라고도 불립니다.

“정당한 파업을 했더라도, 노동자에게 수억 원의 손해배상을 묻는 것이 과연 옳을까요?”

노란봉투법은 이 질문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개정안 일러스트




🟡 ‘노란 봉투’는 왜 상징이 되었을까요?

2014년, 한 노동자가 파업을 이유로 약 5억 원에 달하는 손해배상 청구를 받았습니다.
그때 수많은 시민들이 자신의 마음을 1만 원, 2만 원씩 담아 노란 봉투에 넣어 보냈습니다.

그건 단순한 후원이 아니라 연대와 지지의 표현이었습니다.

후원금전달






🔍 법안의 주요 내용은?

항목 내용
대상 노동자와 노동조합 전체
핵심 고의나 중대한 과실 없는 파업은 손해배상 제한
사용자 정의 간접고용·원청도 사용자로 인정
교섭 책임 원청도 교섭에 책임 가짐
취지 파업 권리 보호 + 무분별한 손배소 제한

✅ 찬성 측 입장은 이렇게 말합니다

  • 손해배상 소송이 노동자에게 지나치게 큰 부담
  • 헌법이 보장한 단체행동권의 실질적 보장 필요성
  • 실제 피해 사례 반복

❌ 반대 측 입장은 이렇게 주장합니다

  • 기업이 정당하게 대응할 수단을 잃을 수 있음
  • ‘사용자’ 개념 확장이 법적 혼란을 유발할 수 있음
  • 기업활동 위축 및 투자 이탈 우려
찬반인포그래피




🏛️ 현재까지의 경과

2023년 11월, 국회 본회의 통과 → 12월 대통령 거부권 행사

현재는 재논의 없이 계류 중입니다.


🌍 해외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해외 사례 비교 이미지




📝 저의 생각

노란봉투법은 단순히 ‘맞다, 틀리다’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어떤 사회를 지향하고 있는지를 묻는 법처럼 느껴집니다.

노동자의 권리도, 기업의 자유도
어느 한 쪽만이 옳은 것은 아닐 테니까요.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여러분의 생각 유도 일러스트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