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총정리|자녀 12세(초6)까지 확대, 급여 상향

2025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총정리|자녀 12세(초6)까지 확대, 급여 상향

육아기 단축근무 썸네일


출산 이후에도 일을 이어가는 부모에게,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은 가장 실질적인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 대상 연령과 급여가 확대되면서 활용 가치가 더 커졌습니다.

1. 2025 핵심 변경점 요약

  • 대상 연령: 만 12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6학년 이하
  • 사용 기간: 원칙 1년, 육아휴직 미사용분 2배 가산 시 최대 3년
  • 근무시간 범위: 단축 후 주 15~35시간
  • 급여 상향: 주 최초 10시간 단축분 상한 기준금액 220만원(최대 55만원)

2. 대상·조건

대상 만 12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6학년 이하 자녀 양육 근로자
형태 정규직·기간제·파견 등 고용형태 무관
기간 원칙 1년(육아휴직 미사용분 2배 가산시 최대 3년)
근무시간 단축 후 주 15~35시간

Tip. 개시일 기준 요건을 충족하면, 중간에 자녀가 연령·학년을 넘어도 예정 종료일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3. 급여(고용보험) 계산 가이드

고용보험에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가 지급됩니다. 핵심은 비례 계산상한입니다.

  • 주 최초 10시간 단축분: 월 통상임금 100% 기준(상한 220만원) × (단축시간/40)
  • 나머지 단축분: 월 통상임금 80% 기준(상한 150만원) × (추가단축시간/40)

예시(월 통상임금 300만원, 주 15시간 단축): 55만원 + 18.75만원 ≈ 73.75만원/월
※ 실제 산정은 고용보험 시스템 기준


4. 신청 절차(회사 → 고용보험)

  1. 회사에 서면 신청(전자문서 포함, 개시 30일 전 권장)
  2. 회사 승인 및 근로조건 서면확정(근무 시작·종료시각, 단축 기간 등)
  3. 고용보험에서 단축급여 신청(온라인/모바일 가능)

5. 자주 묻는 질문(FAQ)

Q1. 하루 1시간만 줄여도 되나요?
A. 가능합니다. 단축 후 주 15~35시간 범위만 지키면 됩니다.

Q2. 탄력·재택 등 유연근무와 병행 가능?
A. 원칙적으로 가능. 다만 회사와 서면합의가 필요합니다.

Q3. 개시 이후 자녀가 초6을 지나면 중단?
A. 아닙니다. 개시일에 요건 충족했다면 예정 종료일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Q4. 연차·주휴는 어떻게?
A. 주 15시간 미만이면 주휴·연차 규정 적용 제외이므로, 주 15시간 이상 유지가 중요합니다.

6. 함께 보면 좋은 글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가이드|안전하게 근무하는 법

7. 마무리

아이 돌봄과 일의 균형, 제도가 도와줍니다.

근로조건을 서면으로 명확히 하고, 고용보험 급여까지 놓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