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 계약 시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조항|2026 알바생 필수 체크리스트
📌 계약서에 사인하기 전, 이것만은 꼭!
“계약서요? 그냥 시급만 확인하고 싸인했어요.”
익숙한 이야기죠. 처음 아르바이트를 시작할 때, 많은 분들이
급하게 서명부터 하곤 해요.
하지만 계약서는 단순한 종이 한 장이 아니라,
내 권리를 지켜주는 가장 중요한 보호막입니다.
2026년, 알바 계약 전에 꼭 확인해야 할 다섯 가지 조항을
정리해드릴게요.
이 글 하나면, 억울한 상황을 미리 막을 수 있어요.
1. 근로계약서 서면 작성 여부
계약은 말로만 해도 된다고요? 아니요!
근로기준법 제17조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계약서를 서면으로 작성해 근로자에게 교부해야 합니다.
- ✔️ 구두계약은 법적 보호를 받기 어렵습니다.
- ✔️ 계약서 미작성은 사업주의 명백한 위법입니다.
- ✔️ 작성 즉시 한 부는 본인이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 Tip: 계약서에 서명 전, 사진으로 저장해두는 것도 추천!
2. 근무 시간과 휴게시간 명시 여부
알바생에게 가장 중요한 건 근무시간과 쉬는 시간이에요.
- ✔️ 출근·퇴근 시간은 분 단위까지 정확히 기재되어야 합니다.
- ✔️ 4시간 근무 시 30분, 8시간 근무 시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이 반드시 보장되어야 해요.
- ✔️ 휴게시간이 없는 계약은 위법입니다.
💡 주의: 실근무 시간 대비 명시된 시간에 차이가 있다면 반드시 수정 요청하세요.
3. 임금 지급일과 방식 명시
임금은 일한 대가입니다. 하지만 언제, 어떻게 받는지 명확히 하지 않으면 분쟁 소지가 생겨요.
- ✔️ 급여 지급일 (예: 매월 10일), 지급 주기 (주급/월급), 지급 방식 (계좌이체 등) 명시 필수
- ✔️ 시급, 주휴수당, 연장수당 등의 항목이 분리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
- ✔️ 급여명세서 발급은 2021년부터 의무화되었습니다.
4. 수습기간 조건과 감액 여부
수습기간이라는 이유로 시급을 깎아도 되는 걸까요?
답은, 조건에 따라 다릅니다.
- ✔️ 1년 미만 계약이라면 수습기간이라도 시급 감액은 불가능합니다.
- ✔️ 수습 조건 (기간, 급여 등)은 계약서에 명확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