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알바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꿀팁
“일은 열심히 했는데, 왜 주휴수당이 없죠?”
처음 아르바이트를 시작했을 때, 누구나 한 번쯤은 이런 생각을 해봤을 거예요.
주휴수당은 받는 게 당연한 건 줄 알았는데, 막상 월급날이 되면 빠져 있는 경우도
많죠.
2026년, 주휴수당은 여전히 알바생들의 권리를 지키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하지만 계산법이나 조건은 매년 조금씩 달라지고 헷갈리기도 하죠.
지금부터, 어렵게만 느껴졌던 2026년 주휴수당 계산법을 아주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주휴수당이란?|쉽고 간단한 정의
주휴수당이란,
일을 성실히 한 근로자에게 주는 유급휴일 수당입니다.
쉽게 말해, ‘주 15시간 이상 성실히 일하면 하루치 임금을 더 준다’는
의미예요.
- 근무 요건: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
- 지급 요건: 정해진 날에 개근했을 경우
- 대상: 모든 근로자 (정규직, 아르바이트, 계약직 등)
2. 2026년 최저임금 기준 시급
✔️ 2026년 최저시급: 9,860원
이 시급을 기준으로 주휴수당도 함께 계산됩니다.
💡 Tip: 주휴수당은 시급 × 하루 근무시간으로 계산해요.
예를 들어,
하루 4시간 일했다면 4시간 × 9,860원 = 39,440원이 됩니다.
3. 계산법 예시|하루 4시간씩 주 5일 근무한 경우
- 기본 근무시간: 4시간 × 5일 = 20시간
- 주휴수당: 4시간 × 9,860원 = 39,440원
- 총 급여: (20시간 × 9,860원) + 39,440원 = 236,640원
👉 주휴수당은 일한 시간과 별개로 주는 '보너스 하루치 급여'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4. 이런 경우 받을 수 있을까?|자주 묻는 질문
❓ 주 3일 근무인데 받을 수 있나요?
→ 주 15시간 이상만 되면 가능해요! 단,
개근 조건도 충족해야 해요.
❓ 수습 기간엔 제외인가요?
→ 수습 중이라도 요건 충족 시 지급 대상입니다.
❓ 근로계약서를 안 썼는데요?
→ 계약서 작성 여부와 무관하게, 실제 근무 시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5. 주휴수당 확인 체크리스트 📝
- ☑️ 이번 주 총 근무시간이 15시간 이상인가요?
- ☑️ 이번 주 동안 무단결근 없이 개근했나요?
- ☑️ 하루 근무시간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나요?
- ☑️ 지급일에 누락되지 않았는지 급여 명세서를 확인했나요?
6. 감정 공감 문단|마무리 한마디
매일 피곤한 몸을 이끌고 출근하며 쌓은 시간들.
그 시간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여러분의 권리이자 자부심이에요.
당당하게 요구하세요.
정당하게 받아야 할 주휴수당, 2026년에는 놓치지 마세요.